반응형

비만을 평생 달고 살다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살을 빼야 해서 #강남비만주사 , #강남다이어트주사 라고 불리는 #삭센다 를 사용해보게 되었다.

 

삭센다에 대한 내용 및 부작용은 다음 기사 참고..

 

https://news.joins.com/article/23054827

 

일단 가격은 펜 하나에 8~15만원 정도인 것 같음. 비만 전문병원보다는 내과 등에서 비만, 성인병, 당뇨 등으로 처방받는 것이 조금 더 싼 것 같았다.

 

초기 용량(0.6)으로는 펜 하나에 한달 정도인데, 점점 증량하면 1~1.5주에 하나씩 쓰게 되는 것 같음...

 

자기 배에 주사를 꽂아야 한다는 거부감이 컸는데, 상황이 급하다보니 매일마다 배에 주사를 맞았다.

 

뭔가 드라마틱한 식욕억제 반응이 나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식욕이 억제되는 것 같지는 않았다.

 

그래서 또 사기당했구나 하는 마음으로 비싼 돈이 아까워서 억지로 맞다보니....

 

식욕이 두가지가 존재하는 것을 알게되었다.

 

 

첫째는 진짜 배고파서 느끼는 식욕, 진짜 배고픔이고..

 

둘째는 스트레스, 외로움 등으로 인한 심리적인 식욕, 즉 가짜 배고픔인데...

 

 

삭센다가 진짜 식욕은 억제가 되는데, 심리적인 식욕은 억제에 도움이 안 되는 것 같다. 나같이 비만인 사람들의 제일 큰 문제인 심리적인 원인으로 인한 폭식에는 도움이 안 된다는 의미....

 

예를 들어, 삭센다를 맞으면 평소 먹던 밥의 반만 먹어도 배부름은 쉽게 느껴지지만, 뭔가 더 먹고 싶은 느낌, 단 것이 먹고 싶은 느낌, 기름진 것이 먹고 싶은 느낌은 없어지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어쨋은 식욕이 억제되기는 하지만...

 

모든 식욕이 억제되길 바라지는 않아야 할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얼마 전에 대기업에서 최근 많이 도입하고 있는 #AI인적성검사 를 응시하게 되었다.

 

관련 내용은 다음의 뉴스 링크 참고

 

http://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1805232774A&category=AA010&sns=y

 

처음에 AI 인적성 검사라고 하여 'AI로 무엇을 분석하나?' '현재 AI 기술이 그정도가 아닐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AI는 광고효과를 위한 기술적인 수식어이고, 본질은 기존의 인적성검사의 강화판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기소개, 지원동기, 성격의 장단점 같은 경우... 말한 내용의 맥락적인 분석을 한다기 보다는 녹화된 얼굴표정의 분석(어떤 감정인지), 녹음된 음성의 분석(어떤 톤과 음색인지), 그리고 조금 더 하면 녹음된 내용의 핵심 키워드 추출(긍정적, 부정적 단어 등) 정도를 진행하지 않을까 한다.

 

위의 분석 내용에 정답이 있다기 보다는, 회사에서 생각하는 우수인력들의 패턴을 지도학습하여 우수인력에 비슷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채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게임의 경우 도형맞추기, 순서맞추기 등은 기존의 지능검사류와 별 다른 것이 없는 것 같고(어떤 지능 특성이 어느 직군에 적합한지 등)...

 

인상적이었던 것은 표정맞추기였는데, 사람의 표정을 보여주고 짧은 시간 안에 어떤 표정인지 선택하게 하는 게임의 경우, 지원자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즉, 상대방의 감정을 읽어내고 공감하는 능력이 있는지(상대방이 중립적인 표정인데 화내고 있다라고 생각하면 문제가 있다는 등) 알아보고자 하는 것 같은데, 사회생활을 하면서 중요한 부분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중에 취업시장이 더 고도화되면 이런 면접에 대비하는 학원이나 컨설팅이 나올지도 모르겠는데, 채용의 당락을 결정한다기 보다는 보조자료로서 활용하면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
반응형

설탕이 만악의 근원으로 취급받는 요즘....

설탕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칼로리도 매우 낮은 감미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도 칼로리가 낮은 단맛을 느껴보고 싶어 알아보니 다음과 같은 감미료가 있었다. #스테비아 #자일리톨 #말티톨 #알룰로스 #타카토스 #에리스리톨 #천연감미료

 

 

 

일단 기본적으로 과복용할 경우 설사와 같은 소화 부작용은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는 것 같다. 이중에서 가성비를 따져보니 스테비아가 제일 우수한 것 같아 스테비아를 주문해봤는데....

 

​진짜 300배인지는 모르겠는데, 아주 약간만 넣어줘도 매우 달다.

 

그런데 그 단맛이 기분 좋은 단맛이라기 보다는 씁쓸한 단맛이라서 아주! 매우 조금만 넣어줘야 적당한 단맛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설탕에 비해서 물 등에 잘 안 녹는다는 느낌이 들었다.

 

​처음 구매한 것이 100% 스테비아라서 그런 것 같아서 그 다음에는 에리스리톨이 섞여있는(실제로는 에리스리톨이 대부분인) 제품을 구매해봤는데, 단맛이 매우 낮아져서 조절하기는 편하지만 가성비는 떨어진다는 생각이 든다.

 

(100% 스테비아가 약 2배정도 가격이긴 한데, 매우매우 조금만 넣어도 되기 때문에 한참 오래쓰는 것을 생각하면 100% 스테비아가 가성비가 좋은 것 같다.)

 

​FDA 논란 이슈는 다음 블로그 참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ong-up&logNo=221089815876&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