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얼마 전에 대기업에서 최근 많이 도입하고 있는 #AI인적성검사 를 응시하게 되었다.

 

관련 내용은 다음의 뉴스 링크 참고

 

http://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1805232774A&category=AA010&sns=y

 

처음에 AI 인적성 검사라고 하여 'AI로 무엇을 분석하나?' '현재 AI 기술이 그정도가 아닐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AI는 광고효과를 위한 기술적인 수식어이고, 본질은 기존의 인적성검사의 강화판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기소개, 지원동기, 성격의 장단점 같은 경우... 말한 내용의 맥락적인 분석을 한다기 보다는 녹화된 얼굴표정의 분석(어떤 감정인지), 녹음된 음성의 분석(어떤 톤과 음색인지), 그리고 조금 더 하면 녹음된 내용의 핵심 키워드 추출(긍정적, 부정적 단어 등) 정도를 진행하지 않을까 한다.

 

위의 분석 내용에 정답이 있다기 보다는, 회사에서 생각하는 우수인력들의 패턴을 지도학습하여 우수인력에 비슷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채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게임의 경우 도형맞추기, 순서맞추기 등은 기존의 지능검사류와 별 다른 것이 없는 것 같고(어떤 지능 특성이 어느 직군에 적합한지 등)...

 

인상적이었던 것은 표정맞추기였는데, 사람의 표정을 보여주고 짧은 시간 안에 어떤 표정인지 선택하게 하는 게임의 경우, 지원자의 공감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즉, 상대방의 감정을 읽어내고 공감하는 능력이 있는지(상대방이 중립적인 표정인데 화내고 있다라고 생각하면 문제가 있다는 등) 알아보고자 하는 것 같은데, 사회생활을 하면서 중요한 부분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중에 취업시장이 더 고도화되면 이런 면접에 대비하는 학원이나 컨설팅이 나올지도 모르겠는데, 채용의 당락을 결정한다기 보다는 보조자료로서 활용하면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