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말, 정신력을 어느 정도 회복한 나는 대학생활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대학 게시판에 게재된 L화학의 산학장학생 모집 공고가 그 시작이었다.
면접에서 나의 숨겨진 재능이 발휘되었는지, 예상보다 수월하게 산학장학생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L화학이 속한 L그룹은 인화와 조화를 중요시하는 기업 문화로 유명했기에, 나의 연약한 멘탈에 적합한 직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도 4학년 동안 전액 장학금을 받는다는 것도 매우 매력적이었다.)
그렇게 남들보다 빠르게 3학년 때 취업할 곳을 정해놓고 나니 마음에 여유가 생겼고 접어두었던 경영학에 대한 욕심도 다시금 고개를 들었다.
그러나 4학년에 올라가면서, 곧 졸업을 하는 마당에 3전공으로 경영학을 이수한다는 것은 정말 무리였다고 판단했고, 차라리 내 전공인 이공계 엔지니어링과 경영학을 융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하고 다양한 탐색을 했었다.
그러던 차에 기술경영이라는 학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마침 내가 다니던 학교가 국가 지원 학교가 되어 기술경영 대학원이 생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는 나에게 너무 적합한 학문이라는 생각을 했고 당장 교수님을 찾아가 어떻게 하면 해당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는지 상담하게 되었다.
교수님께서는 나의 의지는 높게 평가하시면서, 기술경영의 학문 특성상, 학부를 마치고 바로 진학하는 것보다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진학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조언해주셨고, 나는 그 말씀이 매우 합당하다고 판단하고 우선 직장을 다니면서 현장의 경험을 쌓기로 했다.
그렇게 결심을 하고나니 이왕 기술경영을 하려면, 현장 경험도 기술경영과 연관된 곳에서 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국내에서 기술경영과 관련된 직장이 어디있는지 탐색을 시작했다.
그러던 차에 S전자의 기술총괄이라고 하는 곳이 국내에서는 기술경영에 대해 전문적인 곳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4학년 1학기 신입사원 공채에 지원하였다.
주변에서는 S전자의 기술총괄은 최소 석사들 이상이 가는 곳이고, 학부출신이 들어가면 뒤치닥거리만 하게 될 것이라고 차라리 L화학을 가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였지만, S전자라고 하는 것이 가지는 상징성과 기술경영이라는 새로운 목표 때문에 열심히 취업을 준비했고 결국 최종합격하게 되었다.
그당시 나는 나의 고민과 노력의 결실을 얻게된 것 같이 매우 기뻐했고 나의 앞날이 밝을 것만 같았다.
그 이후 남은 4학년 때에는 겉멋이 들어서 H자동차, S텔레콤 등 쟁쟁한 회사의 경영지원 부서에 지원을 하였고 당연하게도 서류에서 탈락했지만 이미 취업은 확정지은 상태였기 때문에 아쉬움은 없었다.